성능점검 1 페이지

본문 바로가기

Business 건축기계설비

건축물의 노후화에 따라 건축물에 설치된 기계설비도 동반하여 성능 저하, 내구연한 감소, 에너지 효율 저하 등이 발생합니다. 기계설비 성능을 초기수준으로 유지하고 진부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기계설비 성능에 대한 정기적인 점검 및 기록이 필요하며, 성능점검을 통한 예방적인 유지관리로 기계설비 성능저하, 사고발생, 에너지 손실 최소화를 구현합니다.

㈜삼일이앤이는 「기계설비법」 제17조 및 「기계설비 유지관리기준(국토교통부고시 제2021-1013호)」에 따라 전문성과 신뢰성을 기반으로 성능점검보고서를 작성하고 있습니다.

  • 계획수립
    • 점검대상 기계설비 파악
    • 성능점검 계획서 작성
    • 성능점검 현황표 작성
    • 성능점검 절차 개발
    • 인력투입 계획 및 장비 검토
  • 수행
    • 재해방지 대책수립
    • 응급상황 매뉴얼 작성, 비치
    • 사고재발방지 대책수립
    • 기계설비 성능점검 시 검토사항 참고
    • 성능점검 수행
    • 성능점검 기준제시, 결과기록
  • 결과분석 및 보고
    • 점검대상 기계설비별 진단
    • 유지관리점검표 내용과 비교
    • 작성된 성능점검 현황표 비교
    • 부적합 내용에 대한 개선책 제시

기계설비 개요

기계설비의 설치

  • 기계설비 시설기준 준수

기계설비의 유지관리

  • 기계설비 유지관리 기준 준수

적용대상 건축물

  • 용도별 건축물 중 연면적 1만㎡ 이상의 건축물(창고시설 제외)
  • 공동주택 중 500세대 이상의 공동주택(지역난방 및 중앙집중식 난방방식은 300세대 이상)

기계설비의 범위

건축물 등에 설치된 기계·기구·배관 및 그 밖의 건축물 등의 성능을 유지하기 위한 설비

  • 열원설비
  • 보온설비
  • 냉난방설비
  • 덕트(DUCT)설비
  • 공기조화, 공기청정, 환기설비
  • 자동제어설비
  • 위생기구, 급수, 급탕, 오배수, 통기설비
  • 방음, 방진, 내진설비
  • 오수정화, 물재이용설비
  • 플랜트설비
  • 우수배수설비
  • 특수설비

기계설비법의 기대효과

  • 쾌적하고 안전한 생활환경 조성
  • 전문적인 기계설비의 유지관리
  • 에너지절약, 건축물 에너지 효율화
  • 건축물의 사용 수명 연장

관리주체의 의무사항

기계설비의 기술기준 준수

기계설비시공사의 착공 전 확인
발주자가 해당 공사 시작 전 기계설비 설계도서를 기술기준에 적합한지 확인을 받아야 함
기계설비 사용 전 검사
발주자가 해당 공사 완료 시 사용 전 검사를 받고 기계설비를 사용하여야 함

관할기관 : 특별자치시장, 특별자치도지사, 시장, 군수, 구청장(자치구)

기계설비의 유지관리기준 준수

책임기계설비유지관리자 선임
관리주체는 대상 건축물의 세대수와 연면적에 따라 아래와 같이 기계설비유지관리자를 선임하여 현장에 상주시켜야 한다.
법 시행 이후 신·증축, 용도변경, 위탁계약 종료 등은 그 행위가 끝나는 날로부터 30일 이내에 선임하여야 한다.
대상 건축물 자격 인원 적용시기
연면적 6㎡ 이상 건축물
3천세대 이상 공동주택
특급
보조
1명
1명
2014.04.17부터
연면적 3㎡ 이상, 6㎡ 미만 건축물
2천세대 이상, 3천세대 미만 공동주택
고급
보조
1명
1명
연면적 1만5천㎡ 이상, 3㎡ 미만 건축물
1천세대 이상, 2천세대 미만 공동주택
공공건축물 등 국토부장관이 고시한 건축물 등
중급 1명 2022.04.17부터
연면적 1만㎡ 이상, 1만5천㎡ 미만 건축물
500세대 이상, 1천세대 미만 공동주택
300세대 이상 500세대 미만의 지역·중앙난방방식
초급 1명 2023.04.17부터

* 주) 기계설비법 시행일(2020.04.18) 이전부터 계속해서 근무하고 있는 유지관리자는 임시관리자의 자격을 발급받아 선임이 가능하며, 퇴직을 할 경우 그 자격은 소멸된다.

유지관리자 교육
기계설비유지관리자로 선임된 자는 6개월 이내, 보수교육은 선임교육 이수일로부터 3년이 지난 날로부터 3개월 이내에 기계설비유지관리자 교육을 받아야 하며, 2회 이상 교육을 받지 않은 기계설비유지관리자는 해임 하여야 함
기계설비 성능점검 등
  • 유지관리지지침서 구비(준공도서, 운용매뉴얼, 기계설비현황표 작성, 기술기준 별지 제3호-6호 서식)
  • 유지관리 및 성능점검계획 수립
  • 안전조치계획 수립
  • 유지관리 점검(반기별 1회 이상)
  • 성능점검(매년 1회 이상)

안전조치(제8조)

관리주체는 성능점검을 실시할 경우에는 다음 각 호의 사항을 준수해야 한다.

  1. 성능점검 전 재해방지대책을 수립할 것

  2. 성능점검 시 응급상황에 대한 작업 매뉴얼을 작성하여 비치할 것

  3. 성능점검 후 기계설비의 사고 또는 이상상황 발생 시 필요에 따라 추가 점검을 실시하고, 재발방지대책 수립

관리주체가 해야 할 유지관리 및 성능점검(제 10조, 11조)

구분 점검방법 시기/횟수 점검양식(서식)
유지관리 외관, 운전 및 안전상태를 주기적으로 점검
육안 또는 장비 사용하여 점검
반기 1회 이상 기계설비 유지관리기준 대상점검표(별지2호)
성능점검 유지관리지침서, 기계설비현황표, 유지관리결과, 성능점검 시 검토사항 참고
반드시 성능점검업 등록 요건의 장비를 사용하여 점검합이 필수사항임
연 1회 이상 기계설비 성능점검 대상점검표(유지관리기준 별지2호)

기계설비 성능점검 시 검토사항(제11조)

점검항목 주요 핵심 검토사항
기계설비 시스템 검토 유지관리지침서의 적정성
기계설비시스템의 작동상태
점검대상 현황표 상의 설계값과 측정값 일치여부
성능개선 계획수립 기계설비의 내구연수에 따른 노후도
정밀점검 조사표에 따른 부적합 및 개선사항
성능개선 필요성 및 연도별 세부개선계획
에너지 사용량 검토 냉·난방 등 분류별 에너지 사용량

* 관리주체가 제12조에 따라 성능점검을 대행하는 경우, 위 3가지 항목 의 검토사항은 특급책임 유지관리자가 작성하여야 한다.

성능점검의 대행 (제12조)

  1. 관리주체는 점검대상 기계설비 유지관리 및 성능점검대상 현황표의 작성, 제7조 제1항에 따른 성능점검 계획수립 및 같은 조 제2항에 따른 성능점검계획서의 작성은 유지관리자 또는 성능점검업자가 대행하게 할 수 있다.

  2. 관리주체가 제11조에 따른 성능점검을 성능점검업자가 대행하게 하는 경우, 그 대가는 「엔지니어링산업진흥법」 제31조 및 별표 4에 따라 선정된 대가기준의 범위 내에서 관리주체와 성능점검업자가 협의하여 정할 수 있다.

  3. 제1항에 따라 성능점검을 이행한 유지관리자 또는 성능점검업자는 성능점검의 결과가 부적합한 기계 설비에 대한 개선, 개량, 보수, 수선, 대수선 등 필요한 조치를 관리주체에게 요청할 수 있다.

성능점검대행절차

  • STEP 01
    사전 현장조사
    1. 연면적(또는 층수) 규모 및 기계설비 현황 파악

    2. 보유현황 및 점검대수 등 기초자료 현황조사 (관리주체 설비현황 조사표)

    3. 견적서와 점검절차 안내문 발송

    4. 견적서 컨펌 시, 계약서 날인 및 착공계 발송

  • STEP 02
    현장진단분석
    1. 방문 후 점검회의를 통한 시설 상세확인 및 요구점 파악

    2. 기계설비 운영시스템 검토
      - 지침서(현황표) 검토
      - 작동상태
      - 각종 기술기준 작성 서식 확인
    3. 서식 확인
    4. 설비대상 성능점검 수행
      - 내구연수에 따른 노후도
      - 성능점검 조사표에 따른 적합, 부적합 도출
      - 안전조치 및 준수사항 체크
  • STEP 03
    최종보고서 제출
    1. 성능개선 상세분석
    2. 최종 성능점검표 작성
    3. 성능점검 결과보고서 작성 (제4호 서식 의거)
    4. 최종 결과보고서 제출 (합의날짜 준수)

보유장비

㈜삼일이앤이

㈜삼일이앤이  대표 : 윤영삼  
주소 : 서울특별시 서초구 강남대로6길 28-3, 201호
Tel : 02-877-1397  Fax : 02-6332-1597  
Mail : samilene@samilene.com

Copyright © SAMILENE. All rights reserved.